자바의 변수와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자.
변수(variable)
변수란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이다.
프로그램은 변수를 통해 값을 읽고 값을 저장할 수 있다.
int age = 34;
double weight = 1.23;
float number = 10.232434F;
char grade = 'A';
String data = "ABC";
위는 변수 선언 예시이다.
다음과 같이 다양한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변수의 타입과 변수 명, 값이 필요하다.
변수 선언 방법
1. 변수타입 변수명 = 초기값;
* 초기값 종류
정수 : 0
실수 : 0.0
문자 : ' '
문자열 : null
2. 변수타입 변수명;
변수 선언 시 주의 사항
1. 변수의 이름은 중복될 수 없다.
2. 변수를 선언한 뒤, 변수값 초기화를 무조건 해주어야 한다.
3. 변수는 되도록이면 한 곳에 선언 하는 것이 가독성이 좋다.
변수명 주의 사항
1. 문자로 시작해야 한다. (숫자 X)
2. 변수명에는 '_'를 제외한 특수 문자를 사용할 수 없다.
3. 소문자로 시작해야 한다.
4.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.
* 표기법
1) 언더바 표기법 : good_boy
2) 카멜 표기법 : goodBoy (자바는 카멜표기법을 사용한다.)
5. 한글은 사용하지 않는다.
6. 뜻이 있는 명사로 사용한다.
변수 타입 종류
기본형(Primitive Type) : 문자형, 정수형, 실수형 등 계산을 위해 실제 값을 저장하는 형태이다.
자료형 | Type | Byte |
정수형 | int | 4 |
실수형 | float | 4 |
double | 8 | |
문자형 | char | 2 |
문자열 | String | ? |
참조형(Reference Type) : 객체의 주소를 저장한다. 기본형을 제외하고는 참조형으로 봐도 무방하다.
변수의 용도 구분하기
: 소스코드를 분석할 때 , 변수의 사용 용도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.
1. 변수명 앞에 자료형이 있거나 뒤에 대입 연산자가 있으면 변수 선언되어 저장공간을 사용한다는 것이다.
// 변수가 저장공간으로 사용되는 경우
int data = 10;
data = 20;
int number;
2. 단순히 값으로 사용되는 경우
// 변수가 저장된 값으로 사용되는 경우
data + 9;
System.out.print(data);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출력 메소드와 서식문자 (0) | 2023.01.25 |
---|---|
[JAVA] 자바의 소스코드 기본 구조 (0) | 2023.01.17 |
[JAVA] 자바 설치하기 (jdk 11.0.15) (0) | 2023.01.14 |